자신이 제작한 PDF 파일들을 압축해야 할 경우 어떻게 해야할까? PDF들을 압축해 호스팅 서버에 올려야 한다던가, 트위터, 페이스북 소셜네트워크에 파일을 첨부해야할 경우, 이메일이 대용량 파일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PDF 용량줄이기를 제공하는 사이트 PDFCompressor를 통해 웹 상에 공유가 편리해진다.
PDFCompressor은 다른 프로그램과 달리 DPI를 변경시키지 않아 문서가 프린트 가능하며 확대와 축소를 그대로 유지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그 외에도 PDF를 다른 파일로 DOC, DOCX, PNG , Text로 변환 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Jpg, OXPS를 PDF로 변환이 가능하며 EBOOK으로 이미지와 함께 제작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또한 한국어를 지원하기에 쉽고 편리하게 사용 가능하다.
smallpdf보다는 PDFCompressor의 업로드 속도와 다운로드 속도가 2배 가장 빠르며 최적화된 이미지와 용량은 서로 비슷했다. 따라서 PDF 용량줄이기만 한다면 PDFCompressor이 조금 더 유용하다. 하지만 기능면에서 smallpdf는 언락 및 변환 등 PDFCompressor에서 제공하지 않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니 상황에 맞게 두 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1단계
용량을 줄일 PDF를 준비하고 PDFCompressor에 접속한다. (링크)
2단계
파일업로드를 선택하고 파일을 업로드한다.
3단계
다운로드를 클릭해 최적화된 PDF를 다운로드한다. 압축된 파일 모양을 클릭하면 단일 파일로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모두 다운로드를 클릭하면 압축한 상태로 다운로드가 된다.
4단계
기존의 PDF와 비교를 하여 이미지 및 손상이 없는지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