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cept Farm에서 제공하는 폴리곤 아트 프로그램으로 유행하는 폴리곤 아트를 만들 수 있다. 기존의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와 포토샵의 액션 키를 사용한 어려운 방법이 아닌 클릭만으로 누구나 쉽게 폴리곤 아트와 같은 추상화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와 맥 OSX를 지원하고 PDF로 파일을 저장할 수 있어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에서 추가로 편집할 수 있다.
[su_service title=”팁” icon=”icon: lightbulb-o” icon_color=”#f9b463″]폴리곤 아트 / 로우폴리곤이란?
이미지를 3,000개 이하의 삼각형 면으로 쪼개는 로우 폴리곤 기법을 적용하여 독특한 2D 디자인으로 구현한 것을 폴리곤 아트 / 로우폴리곤이라고 말한다.[/su_service]
완성된 이미지


1단계: 사이트 접속하기
하단의 링크를 통해 Concept Farm의 Image Triangulator App 다운로드 페이지로 접속한다.
Image Triangulator App 다운로드 페이지 링크 바로가기
2단계: 다운로드
하단의 다운로드 링크를 통해 OS에 맞는 Image Triangulator App을 다운로드 받는다.
[su_service title=”팁” icon=”icon: lightbulb-o” icon_color=”#f9b463″]애플인 경우 ‘OSX’를 다운로드한다. 윈도우인 경우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시스템에서 시스템 종류를 확인하고 32비트 운영 체제이면 ‘Windows x86’을 다운로드, 64비트 운영 체제이면 ‘Windows x64’를 다운로드 한다.[/su_service]
3단계: 실행하기
다운로드한 압축 파일을 압축 해제하고 폴더 안의 ‘TriangulateImage5.exe’ 파일을 실행한다.
4단계: 이미지 불러오기
‘CHOOSE AN IMAGE…’를 클릭하여 이미지를 불러온다. 예제 이미지는 압축 푼 폴더 안 DATA 폴더에서 찾을 수 있다.
5단계: 블러 조정하기
이미지 내 특정 인물이나 사물에 폴리곤 아트 효과를 준다면 블러(흐림) 효과를 조절하고 시작하는 것이 좋다. 하단을 참고하여 ‘BLUR RADIUS’와 ‘THRESHOLD’를 조절하고 BLUR를 클릭한다. 이 과정이 필요 없다면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su_service title=”팁” icon=”icon: lightbulb-o” icon_color=”#f9b463″]BLUR RADIUS: 블러 효과 반경을 조절한다. 숫자가 적을수록 반경이 커진다.
THRESHOLD: 블러의 임계 값을 조절한다. 임계 값 숫자가 높을수록 이미지 가장자리의 블러 효과가 증가한다.
BLUR: ‘BLUR RADIUS’와 ‘THRESHOLD’의 수치를 조절하고 ‘BLUR’를 클릭해야 적용이 된다. 약간의 딜레이가 있으며 이 기능을 통해 배경을 흐리게 하고 인물만 뚜렷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su_service]
6단계: 포인트 입력하기
이미지를 클릭하여 포인트를 입력한다. 포인트는 균일하게 입력하면 멋진 폴리곤 아트를 만들 수 있다. 포인트를 균일하게 입력하고 세밀한 조정은 ‘SHOW/HIDE LOUPE’를 사용해서 한다. 포인트를 지우려면 ‘ON/OFF ERASER’를 사용한다. 이렇게 수정해가며 폴리곤 이미지를 완성한다. 더 자세한 사용법은 하단의 팁을 참고하자.
[su_service title=”팁” icon=”icon: lightbulb-o” icon_color=”#f9b463″]SAVE POINT: 입력한 포인트 좌표를 텍스트 파일로 저장한다.
LOAD POINT: 텍스트에 저장된 포인트 좌표를 불러온다.
ON/OFF ERASER(E): 지우개를 활성화하여 포인트를 지운다.
SHOW/HIDE LOUPE(L): 돋보기 기능을 활성화한다.
ORIGINAL(O): 원본 이미지를 보여준다.
BLURRED(B): BLUR 효과가 적용된 이미지를 보여준다.
MESH(M): 폴리곤의 삼각형 그물을 보여준다.
RESULT(R): 완성된 폴리곤 이미지를 보여준다.[/su_service]
7단계: 저장하기
‘WRITE TO PDF’를 클릭하여 이미지를 PDF로 저장한다. PDF로 저장된 이미지는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를 사용해 효과를 추가하거나 이미지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