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MAC)주소는 특정 컴퓨터나 모바일 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식별번호로 각각의 맥주소는 기기마다 다르게 저장되어 있으며 아이피주소와는 다르게 사용자가 마음대로 바꿀 수 없다. 이러한 점에서 사람에 비유하자면 주민등록번호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지만 오로지 식별번호 정보만 가지고 있다. 이러한 맥 주소는 일상에서도 다양하게 사용되지만 맥주소를 통해 위치를 추적할 수 있어 공개하지는 말자. 이 페이지에서는 자신의 컴퓨터의 맥주소를 윈도우를 통해 쉽게 찾아볼 수 있는 2가지 방법을 설명한다.
제어판에서 맥주소 확인하기
제어판을 통해서 맥주소를 확인한다면 현재 연결된 맥주소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연결되지 않은 맥주소들도 확인하려면 하단의 명령프롬프트(CMD)를 통한 맥주소 알아보기로 넘어가자.
1단계: 제어판 네트워크 공유센터 이동하기
윈도우 종류마다 약간씩은 다르겠지만, 과정은 거의 비슷하다. 작업표시줄 우측의 네트워크 아이콘 클릭하여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열기’를 클릭한다.
[su_service title=”팁” icon=”icon: lightbulb-o” icon_color=”#f9b463″]또는 ‘시작’ – ‘제어판(보기 기준이 범주인 경우)’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네트워크 상태 및 작업 보기’ , ‘시작’ – ‘제어판(범주가 아닌 경우)’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로도 이동할 수 있다.[/su_service]
2단계: 연결된 네트워크 속성 확인하기
‘연결:’ 우측의 링크를 클릭한다. ‘연결’은 현재 연결된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무선인 경우 ‘로컬 영역 연결’이 아닌 ‘무선 네트워크 연결’이 될 수도 있다.
3단계: 네트워크 연결 세부 정보 보기
‘네트워크 연결 상태’ 창에서 ‘자세히(E)’를 누른다.
4단계: 맥주소 확인하기
‘네트워크 연결 세부 정보’에서 물리적 주소를 확인한다. 이 물리적 주소는 현재 연결된 네트워크의 맥주소를 뜻한다.
명령프롬프트 CMD로 맥주소 확인하기
다른 간편한 방법으로는 윈도우 명령프롬프트(CMD)로 맥주소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CMD를 통해 맥주소를 확인하면 다른 네트워크 연결의 맥주소들도 확인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1단계: 명령프롬프트 CMD 실행하기
단축키 ‘윈도우 + R’을 눌러 실행창을 열고 CMD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또는 윈도우 ‘시작’ – 하단 검색창에 cmd 입력, 또는 윈도우 ‘시작’ – ‘실행’ – ‘열기’ 항목에 CMD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2단계: ipconfig/all 입력
CMD 창에 ipconfig/all 이라는 명령어를 입력한다.
3단계: 맥주소 확인하기
물리적 주소(Physical Address)가 맥주소를 의미하며 네트워크 연결에 따라 여러 맥주소가 나열된다.
[su_service title=”팁” icon=”icon: lightbulb-o” icon_color=”#f9b463″]유선 LAN의 맥주소를 찾는다면 일반적으로 이더넷 로컬 영역 어댑터이며, 무선 랜은 무선 LAN 어댑터 구별되어 있다.[/su_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