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하는 사이트나 블로그가 구글 검색엔진에 나타나지 않는다면 직접 사이트를 등록해야한다. 구글 사이트를 등록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다. 모두 등록하기를 권장하며 특히 웹마스터 도구로 사이트 추가하기를 통한 구글 검색 등록 방법은 필수로 하는 것이 좋다.

웹마스터 도구로 URL 등록하기

구글 검색 등록으로 방법으로 웹마스터 도구에 URL을 제출하는 방식이다. 위 링크에 사이트 주소 URL와 보안숫자를 적은 후 요청 제출을 하면된다. 추가적으로 분석 기능을 얻으려면 하단의 웹마스터 도구로 사이트 추가하기를 참고하자.

블로그 검색에 블로그 추가하기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면 위의 웹마스터 도구로 등록하기에 이어 URL을 등록하자. 위 링크에 블로그 주소 및 XML을 추가하면 된다. 하지만 구글에서는 블로그 검색과 웹문서 검색이 크게 구별되서 검색 결과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하단의 웹마스터 도구로 검색 등록 이후 추가적으로 해주면 유용할 것 같다.

구글 웹마스터 도구로 사이트 추가하기

웹마스터 도구로 구글 검색 등록은 단순히 URL 등록과는 다르게 직접 사이트를 추가하고 HTML에 메타 태그 추가 또는 구글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의 웹로그 분석 코드 등을 삽입해야한다. 작업을 마치면 웹마스터 도구에 자신의 사이트가 추가되며 보다 전문적으로 사이트를 관리를 할 수 있다. 하단의 5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구글 애널리틱스로 인증하기

구글 애널리틱스을 통해 구글 검색 등록을 하면 웹마스터 도구와 애널리틱스가 같이 통합되여 웹로그 분석을 통해 통계·분석 기능을 얻을 수 있다. 이로써 자신의 어떤 페이지가 인기가 많은지 어떤 페이지가 애드센스를 통해 수익을 가져다 주는지 분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준다.

메타 태그

가장 기본적인 웹마스터 도구의 구글 검색 등록 기능으로 빠르고 간편하게 추가 가능하다. 메타 태그로도 애널리틱스 연동이 가능하지만, 메타 태그와 애널리틱스의 웹로그 분석 코드를 함께 삽입해야하기에 애널리틱스로 인증하기를 권장한다.

태그 매니져

구글 태그 매니져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이쪽을 참고하자.(링크) 간단히 요약하자면 구글 태그매니저를 웹이나 앱에 적용해 놓으면, 그 외 기타 필요한 스크립트 삽입할 필요 없이 구글 태그매니저로 관리가 가능해진다. 사이트에 직접 코드를 삽입하는 스니펫을 제거해도 작동되는 원리를 가지고 있다.

HTML 파일 업로드

사이트에 직접 HTML 파일을 업로드하여 웹마스터 인증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 티스토리나 네이버와 같은 블로그에는 사용하기 쉽지 않고 직접 호스팅받는 사이트에 FTP를 통한 업로드로 인증이 가능하다.

도메인 이름 공급 업체

이용하는 도메인 및 공급 업체의 DNS 구성에 TXT 기록을 추가하여 웹마스터 도구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직접 도메인을 추가하여 사용하는 사이트 및 블로그에 적용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