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기 없이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을 사용하여 와이파이존을 만들어보자. 통신사의 와이파이존 또는 공유기 없이도 집에 유선 랜이 설치되어 있다면 무료로 와이파이존을 만들 수 있다. 공유기 없이 와이파이존을 만들려면 무선 랜카드가 PC나 노트북에 내장이 되어 있는지 확인을 해봐야 한다.
[su_service title=”준비물” icon=”icon: check-square-o” icon_color=”#f9b463″]윈도우, 내장형 무선 랜카드가 내장된 데스크탑 · 노트북[/su_service]
1단계: 첨부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압축 해제
하단의 첨부된 파일에는 윈도우 서비스로 무선 네트워크 카드가 설치된 PC의 와이파이 기능을 활성화 시키는 역활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프로그램이다.
2단계: NetshSET 설정하기
다운로드한 압축을 해제하고 NetshSET.exe를 실행하여 숫자 3을 누르고 엔터를 눌러 설정을 실행하여 와이파이 이름, 비밀번호를 설정한다.
[su_service title=”팁” icon=”icon: lightbulb-o” icon_color=”#f9b463″]비밀번호는 최소 8자 이상으로 설정해야 한다.[/su_service]
3단계: 와이파이존 설정하기
윈도우의 제어판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 어댑터 설정 변경으로 이동하여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연결’을 찾아 오른쪽 마우스 클릭 – 속성을 클릭하면 속성창이 뜬다. 속성창 탭의 공유 – 인터넷 연결 공유란에 ‘다른 네트워크 사용자가 이 컴퓨터의 인터넷 연결을 통해 연결할 수 있도록 허용’ 체크 후 홈 네트워크 연결에서 Microsoft Virtual WiFi Miniport Adapter로 지정된 개인 네트워크 연결 선택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연결2)
[su_service title=”주의” icon=”icon: exclamation-triangle” icon_color=”#f9b463″]일반적으로 무선 네트워크 연결2가 생성되며 ‘Microsoft Virtual WiFi Miniport Adapter’라고 써진 네트워크 연결을 찾아 입력하면 확실하다. 무선 네트워크 연결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무선 랜카드가 없으므로 와이파이존을 만들 수 없다.[/su_service]
3단계: 와이파이존 실행하기
NetshSTART를 실행하고 와이파이존을 연결한 기기에 1단계에서 저장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와이파이를 연결한다.
[su_service title=”팁” icon=”icon: lightbulb-o” icon_color=”#f9b463″]연결이 되지 않는다면 2단계 설정을 잘못했을 수 있으며, 연결이 되었지만 재연결이 수월하지 않다면 PC 또는 해당 기기의 재시작 이후 재연결을 시도해보자.[/su_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