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직구를 할 때 예전에는 주민등록번호를 통해 수입 통관이 가능했지만 개인정보법이 시행 이후 개인통관고유부호를 사용하게 되었다. 즉 해외 직구를 하려면 개인통관고유부호를 만드는 것을 권장한다.

물론 배송대행지(배대지)를 이용할 때 필요하다.

개인통관고유부호 만드는 방법은 관세청 홈페이지에서 공인인증서를 통하여 발급 받는 방법과 팩스와 이메일을 보내는 방법과 세관을 방문하는 방법이 있다.

배송대행지 필수요소 개인통관부호
배송대행지의 개인통관고유부호 요구 (출처:이하넥스)

공인인증서 개인통관고유부호 발급 받기

공인인증서가 있다면 가장 간편한 방법으로 관세청 UNI-PASS를 통해 발급 받는 것이 편리하다. 발급 받는 방법은 사이트에 무엇보다 친절하게 설명되어 있다. 단 익스플로러를 통하여 발급이 가능하며 모바일은 현재 지원하지 않고 있다. 현재 제공하는 개인통관고유부호 신청 대행 앱은 관세청이 제작하여 배포하는 것이 아니며 개인정보 유출의 우려가 있으니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관세청 UNI-PASS 개인통관고유부호 발급 사이트 바로가기

사용 방법은 공식 사용 방법을 참고하면 된다.

관세청 UNI-PASS 개인통관고유부호 발급 받기 신청 안내 바로가기

방문, 팩스, 이메일 개인통관고유부호 발급 받기

공인인증서가 없거나 발급이 쉽지 않다면 신청서를 작성하여 신분증 사본과 함께 담당자를 통하여 직접 발급 받는 방법이 있다. 발급이 완료되면 SMS로 문자가 발송된다. 자세한 설명은 관세청 UNI-PASS 개인통관고유부호 사이트의 세관발급신청 안내 메뉴얼을 참고하자.

관세청 UNI-PASS 개인통관고유부호 발급 세관발급신청 안내 바로가기

자주하는 질문

그 외에 궁금한 점이 있다면 자주하는 질문 내용을 참고하자.

관세청 UNI-PASS 개인통관고유부호 발급 자주하는 질문 바로가기

해외 직구는 국내에서 구입하는 것보다 저렴하고, 국내에 시판되지 않는 제품도 구입할 수 있으니 꼭 한번이라도 해보자. 해외 직구는 한번도 안해본 사람은 있어도 한번만 한 사람은 없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푹 빠질지도 모른다.